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가기술자격증 순위와 준비방법!

by 라임멘토 2021. 9. 28.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스펙을 높이기 위해 준비하시는

국가기술자격증 순위와 준비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국가기술자격증은 자격기본법에 따른 국가자격 중 산업과 관련이 있는

기술-기능 및 서비스 분야의 자격으로 규정된 종목의 전문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증서인데요!

 

기술-기능 분야는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5개 등급으로

서비스 분야는 1, 2, 3 또는 단일등급으로 구분하여 시행되고 있습니다.

 

그럼 가장 많이 응시하시는 국가기술자격증 3종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사는 국가기술자격증 중 가장 많이 응시하는 자격증이자

취업이 잘 되는 자격증으로도 가장 많이 꼽히는데요!

전기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에너지이고,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재해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 경제의 효율성 측면에도 중요하고 이러한 부분 또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 산업안전기사입니다.

산업안전기사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관리자 역학을 할 때

활용이 되는 자격증으로 연령대 상관없이 응시하시는 자격증인데요!

산업이 발달 하면서 생산관리에서 안전을 제외하고는

생산성 향상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 점점 높아지면서

산업현장의 근로자를 보호하고 근로자들이 안심하고
생산성 향상에 주력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게 되었는데요!

 

안전수준에 대학 계속적인 투자와 사회적 인식으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의 개정과 정부의 적극적인 재해 예방정책 등으로

산업안전기사 자격증 취득자에 대한 인력수요가 증가할 전망으로

응시를 많이 하는 자격증 중 2번째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방설비기사입니다!

소방설비기사는 전기, 기계 두 분야가 있는데요!

 

소방설비기사는 건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 되어가며
화재발생시 진화보다는 화재의 예방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두어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방법을 택해

이에 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하였습니다.

 

산업구조의 대형화와 다양화로 소방대상물(건축물·시설물)이 고층·심층화되고,
고압가스나 위험물을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등으로
재해발생 위험요소가 많아지면서 소방과 관련한 인력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소방설비 관련 주요 업무 중 하나인 화재관련 건수와
그로 인한 재산피해액도 당연히 증가할 수 밖에 없어
소방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두 분야 모두 위와 같이 취업이 잘되고 응시가 많은 자격증으로

항상 꼽히는 국가기술자격증이죠!

 

 

그럼 이제 국가기술자격증 중 기사 등급을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제일 먼저 준비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응시자격입니다!

 



기술자격

-       동일 (유사) 분야 다른 종목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

-       기능사 + 실무경력 3

 

관련학과 전공자

-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전문대졸업 + 실무경력 1~2

 

경력

-       실무경력 4(동일, 유사분야)

국가기술자격증이기에 이렇게 기술자격, 학력, 경력조건 중
하나만 갖춘다면 국가기술자격증 응시를 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가기술자격증 순위와 준비방법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많은 분들이 국가기술자격증을 취득하려 하시는 만큼 준비를 철저하게 하여

자격증을 꼭 취득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국가기술자격증 순위와 준비방법에 대한 글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